The Symbol of Cities : Bird
Installation view at Goyang Artist Residency SAEDEUL
2023, interior film(KAL), 198 x 140 cm (each)
The Symbol of Cities : Bird
Installation view at Goyang Artist Residency SAEDEUL
2023, interior film(KAL), 198 x 140 cm (each)
상징 새들은 대부분 72년부터 78년 사이에 지정되었으며, 지리학의 관점에서 지역적 특성에 맞는 ’새‘를 대표하여 지역민을 상징한다. 그러나 대부분 상위 기관의 상징물을 그대로 이어받아 재정하거나, 유사한 단어와 문장을 그대로 가져와 애매모호하게 도민 또는 시민을 표상 시킨다. 각 기관과 지자체에서 예술가에게 바라는 ‘시민(지역민)을 위한 예술’의 그 대상들을 어떻게 개념화 시키고 있는것인가. 작품은 우리나라 도와 시가 그 대상을 표상한 상징들의 설명에 명사를 제외한 형용사, 부사, 동사 들 만으로 구성하여 사전의 한 페이지로 재구성 된다.
Symbolic birds were mostly designated between 1972 and 1978, representing the local residents by embody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from a geographical perspective. However, many of these symbols often inherit or replicate the symbols of higher institutions, portraying the citizens ambiguously by borrowing similar words and phrases. Artists contemplate how each institution and local government conceptualize the targets of 'art for citizens (locals).' The works reconstruct the symbols representing regions in South Korea, such as provinces and cities, using only adjectives, adverbs, and verbs in the descriptions, excluding nouns, forming a single page of a diction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