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시 생활백서 新都市生活白書 New Town Life Handbook
2016, B6 Color Publication 150 pages
신도시 생활백서 新都市生活白書 New Town Life Handbook
2016, B6 Color Publication 150 pages
『신도시 생활백서新都市生活白書』는 경기북부 신도시 건설로 생겨나는 일련의 반작용들을 사진으로 기록한 리서치형 출판물이다. 기존 도시 리서치 방식이 역사 혹은 도시생태의 변화를 텍스트에 대부분 의존하여 보여주었다면, 책은 도시 변화의 '현재' 모습을 이미지의 흐름으로 수집하고자 함에 차별성을 두고 있다. 신도시는 거대한 도시계획을 통한 가치 창출 아래 생겨난다. 신도시 건설을 위해 사라져가는 경기 북부의 토착 민들의 마을 공동체나 문화편의에 치우쳐진 발전들. 그것들은 아직 도시 성이라는 지정학적으로 맥락화 되지 못한 경기북부의 '신흥 메가 시티' 를 꿈꾸는 열망으로 대변 된다. 책은 신도시의 안과 밖(신도시 외부의 원래 있던 장소적 풍경)을 신체의 경험을 통해 관찰하고 기록하고 있다.
The "New Town Living Guide新都市生活白書" is a research-oriented publication documenting a series of interactions arising from the construction of the Gyeonggi Northern New Town through photographs. In contrast to conventional urban research methods that heavily rely on text to depict changes in history or urban ecology, this book distinguishes itself by aiming to collect the 'present' state of urban transformation through the flow of images. The new town emerges beneath the value creation through massive urban planning. Developments are skewed towards the construction of the new town, leading to the disappearance of local communities or cultural conveniences in Gyeonggi Northern areas. These represent desires for a 'new mega city' in Gyeonggi Northern, not yet contextually framed as an urban center. The book observes and records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new town (original spatial landscapes outside the new town) through bodily experiences.